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이야기

테이퍼링과 금리와 달러, 향후 전망은?

by 정보퍼주는박꼬마 2021. 11. 5.

테이퍼링, 향후 전망은?

테이퍼링

 

테이퍼링이란?

tapering(테이퍼링)의 의미 자체는 '끝이 차차 가늘어진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경제학적으로 이야기하자면, 경기 침체기에 경기 회복을 위하여 사용했 각종 완화 정책과 ,과잉 공급된 유동성을 경제에  부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서서히 거두어들이는 전략을 뜻하는 용어라고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11월 FOMC(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는 만장일치로 정책금리를 동결했고, 이번 달 말부터 자산매입 규모를 매월 150억 달러씩(국채 100 억 달러 + MBS 50 억 달러) 축소해 나가기로 결정하였습니다. 9월 FOMC에서 1) 2021년 연말, 테이퍼링 시작 2) 2022년 중반, 자산 매입 종료 3) 2022년 연말 기준 금리 상승을 시사한 바와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년 1월부터 테이퍼링 속도는 경제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고 기재하였습니다. 

 

이 테이퍼링 관련 발표로 시장의 변화가 크지 않았던 것은, 이 결정이 시장 예상치와 크게 다르지 않았고, 경제에 유통되고 있는 유동성을 흡수하는 긴축정책이 아니라 신규로 공급되는 유동성의 양을 줄이는 긴축정책이기 때문이라고 판단되고 있습니다. 주가에 대한 영향은 테이퍼링보다 금리 인상의 시기가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습니다.

 

 

테이퍼링

 

금리인상의 신호?

일단 금융권이나 뉴스 등에서는 기준금리인상은 초읽기 단계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 연준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예측을, 뱅크 오브 아메리카 등은 2022년 말 1회로 예상, 씨티은행과 골드만삭스는 2022년 7월과 11월 2차례에 걸쳐 인상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연준의 테이퍼링 발표로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관심과 논의의 중점이 테이퍼링 시행 자체보다는 금리인상 시점으로 옮겨간 것으로 보이는 만큼 본격적 인상 시점을 결정하는 변수인 인플레이션, 소비 등의 경제여건 변화에 예의 주시해야 합니다.

과거와 현재의 테이퍼링에 대한 큰 차이 역시 '물가 수준'에 있습니다.

 

달러 강세 예상

 

확장에서 긴축으로 미국의 통화정책의 대전환이 예고되면서, 금리인상 가능성에 맞춰 달러 강세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연준의 3차에 걸친 양적완화 정책 시행의 방향성을 참고할 수 있는데요.

테이퍼링으로 확장에서 긴축으로 미국의 통화정책의 대전환이 예고되면서, 금리인상 가능성에 맞춰 달러강세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달러강세가 예상된다면 국내 투자자들은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요?

대표적인 달러 투자 방법은 은행의 외화예금이나 증권사의 달러 RP, ETF, 그리고 미국 증시나 미국 펀드에 투자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달러투자방법 예시

 

국내 투자자의 경우에는 안전자산 투자처의 한 부분인, 미국 증시 투자 시에는 달러로 환전하여 투자하게 되므로, 주가 상승에 환율 상승에 대한 환차익까지 기대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존에는 인위적으로 실질 금리를 낮게 유지하기 때문에 높은 수익률을 얻기 위해서, 위험 자산군으로 투자자금이 이동하는데 자금의 일부는 신흥국으로 편입됩니다. 하지만 테이퍼링으로 양적완화 정책이 종료되면 자금이 다시 회수되는 과정에서 신흥국 통화가 약세가 되면서 이 또한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신흥국 투자에 대해서는 조심할 필요성이 있겠습니다. 


저를 포함하여, 포스팅 읽어주시는 분들과 구독해주시는 분들 중 미국 증시 등에 투자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당분간은 경제상황에 대해서 변화를 잘 읽어가면서 신중한 투자를 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뉴스를 보시면서 테이퍼링이 뭐지? 금리인상 여부와 달러의 변화 등에 궁금증이 있으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본 포스팅은 투자를 권유하기 위함이 아닌, 정보전달성 포스팅 임을 밝힙니다.

 

728x90
반응형